네트워크 장비 리피터(Repeater)

리피터(Repeater), 신호를 증폭하고 재생하여 데이터가 보다 먼 거리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피터의 개념, 역할, 종류, 그리고 장단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리피터(Repeater)의 개념 리피터는 네트워크에서 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를 증폭 또는 재생하여 다음 네트워크 구간으로 전달하는 장비입니다. 이 장치는 주로 유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거리가 길어질수록 신호가 약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 Read more

네트워크 주요 장비: 허브(Hub)

오늘은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 중 하나인 허브(Hub)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허브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초적인 장비로, 여러 장치(컴퓨터, 프린터 등)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위치(Switch)의 발전으로 인해 허브의 사용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허브는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허브(Hub)란? 허브는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를 여러 장치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허브에 … Read more

네트워크 주요 장비

네트워크 주요 장비, 허브(Hub), 리피터(Repeater), 브리지(Bridge), 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장비는 역할과 기능이 다르며,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적절하게 사용됩니다. 허브(Hub) 허브는 네트워크에서 여러 장치를 연결하는 장비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허브에 연결된 모든 장치는 같은 네트워크에 속하며, 데이터를 전송할 때 허브는 모든 포트로 신호를 전달합니다. 장점: 간단한 구조로 설치가 쉽고 저렴함. … Read more

펄스 진폭 변조(PAM: Pulse Amplitude Modulation)

펄스 진폭 변조(PAM: Pulse Amplitude Modulation), 중요한 변조 방식 중 하나입니다. PAM은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불연속적인 펄스로 변조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PAM 신호의 개념과 원리, 특징, 응용 분야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PAM 신호란? PAM은 아날로그 신호의 진폭을 일정한 시간 간격의 펄스로 샘플링하는 변조 방식입니다. 즉, 원래 신호의 연속적인 … Read more

코덱(Codec) 양자화(Quantization)

코덱(Codec) 양자화(Quantization), 압축 과정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양자화는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유한한 비트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 과정에서 원본 데이터의 일부 정보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덱에서 사용되는 양자화의 개념과 원리, 그리고 적용 방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양자화(Quantization)란? 양자화는 연속적인 값의 집합을 유한한 개수의 이산적인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아날로그 신호는 무한한 범위의 … Read more

코덱(CODEC)

코덱(CODEC),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이는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신호의 변환에 사용되며, 원본 신호를 효율적으로 압축하거나 복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CODEC의 기본 기능 CODEC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ADC(Analog-to-Digital Conversion,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DAC(Digital-to-Analog Conversion,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압축(Compression): 데이터 전송 … Read more

디지털 서비스 유닛(DSU: Digital Service Unit)

디지털 서비스 유닛(DSU: Digital Service Unit),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장치로,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 DSU는 주로 고속 데이터 통신망에서 사용되며, 전용 회선(Leased Line) 환경에서 데이터를 변환하고 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SU의 개념 및 기능 DSU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디지털 신호 변환: 네트워크에서 전송할 수 … Read more

위상 편이 변조(PSK: Phase Shift Keying)

위상 편이 변조(PSK: Phase Shift Keying), 디지털 변조 방식 중 하나로, 반송파(carrier)의 위상을 변경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PSK는 높은 신뢰성과 잡음 저항성을 제공하여 다양한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위상 편이 변조의 개념 PSK는 디지털 데이터(0과 1)를 전송하기 위해 반송파의 위상을 변경하는 방식입니다. 기본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High State): 특정한 위상 … Read more

주파수 편이 변조(FSK: Frequency Shift Keying)

주파수 편이 변조(FSK: Frequency Shift Keying), 디지털 변조 방식 중 하나로,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FSK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히 무선 및 저전력 데이터 전송 환경에서 효과적입니다. 주파수 편이 변조의 개념 FSK는 디지털 데이터(0과 1)를 전송하기 위해 반송파(carrier)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방식입니다. 기본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High State):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 Read more

진폭 편이 변조(ASK: Amplitude Shift Keying)

진폭 편이 변조(ASK: Amplitude Shift Keying), 디지털 변조 방식 중 하나로, 신호의 진폭을 변경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ASK는 간단한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진폭 편이 변조의 개념 ASK는 디지털 데이터(0과 1)를 전송하기 위해 반송파(carrier)의 진폭을 변경하는 방식입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리로 동작합니다: ‘1’ (High State): 반송파의 높은 진폭을 유지하여 데이터 신호 … Read more

Popup Image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