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Back N ARQ 총정리

Go Back N ARQ, 전송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로, 수신 측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오류가 발생한 패킷 이후의 모든 패킷을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기법을 활용하여 여러 개의 패킷을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Go-Back-N ARQ의 동작 원리 Go-Back-N ARQ는 송신자(sender)와 수신자(receiver) 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다음은 동작 방식의 주요 요소입니다. 슬라이딩 … Read more

Stop and Wait ARQ 총정리

Stop and Wait ARQ, 가장 기본적인 오류 제어 기법 중 하나로, 송신자가 한 번에 하나의 프레임(frame)만 전송하고, 수신자로부터 확인 응답(ACK)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입니다. 즉, 송신자는 다음 프레임을 보내기 전에 반드시 이전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전달되었음을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응답이 오지 않거나 오류 응답(NACK, Negative Acknowledgment)이 오면, 동일한 프레임을 다시 전송합니다. Stop and Wait ARQ의 작동 … Read more

블록합 검사(Block Checksum)

블록합 검사(Block Checksum) 알고 계신가요? 데이터는 전송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요인(노이즈, 간섭, 신호 감쇠 등)으로 인해 데이터가 변형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여러 가지 오류 제어 기법이 사용됩니다. 그중 하나가 블록합 검사(Block Checksum)입니다. 블록합 검사(Block Checksum)란? 블록합 검사란 데이터 블록 단위로 오류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수신 측에서 특정 계산 방식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가 … Read more

패리티 검사(Parity Check)

데이터 통신과 저장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기 위해 다양한 오류 검출 및 정정 기법이 사용되는데, 그중 하나가 패리티 검사(Parity Check)입니다. 패리티 검사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오류 검출 방식으로, 특히 하드웨어 구현이 쉬워 초기 컴퓨터 시스템과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패리티 검사의 개념 패리티 검사란 전송되는 데이터의 비트 수가 짝수 또는 홀수가 … Read more

상승 코드(Raised Code)

상승 코드(Raised Code),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류 정정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한 유형의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FEC, Forward Error Correction)입니다. 기존의 오류 정정 방식보다 더 높은 오류 정정률을 제공하며, 특히 신호 품질이 저하되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데이터 복구가 가능합니다. 상승 코드의 동작 원리 상승 코드는 기본적으로 부가적인 오류 정정 비트를 포함하여 수신 측에서 오류를 감지하고 복구할 … Read more

해밍 코드(Hamming Code)

해밍 코드(Hamming Code), 단일 비트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순방향 오류 제어(Forward Error Correction, FEC) 방식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밍 코드의 개념, 원리, 동작 방식 및 활용 분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해밍 코드란? 해밍 코드는 리처드 해밍(Richard Hamming)이 개발한 오류 검출 및 정정 기법으로, 단일 비트 오류(single-bit error)를 검출하고 수정할 수 있는 … Read more

데이터 전송 오류 발생 원인

데이터 전송 오류 발생 원인 알고 계신가요? 이유가 정말 많겠지만, 이번 글에서는 오류를 발생시키는 주유 원인들 몇가지만 제대로 살펴보겠습니다. 감쇠, 지연왜곡, 상호 변조, 충격 잡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쇠 (Attenuation) 정의 신호가 전송 매체(유선 또는 무선)를 따라 이동하면서 점점 약해지는 현상. 거리가 길어질수록 신호의 세기가 줄어들어 수신 측에서 신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음. 원인 … Read more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레임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레임, 데이터 링크 계층(OSI 2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패킷을 프레임 단위로 구성합니다. HDLC 프레임은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송신하며, 오류 검출과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포함합니다. HDLC 프레임의 구조 HDLC 프레임은 일정한 형식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주요 필드를 포함합니다. | 플래그(Flag) | 주소(Address) | 제어(Control) | 정보(Information) | … Read more

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프레임

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프레임,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입니다. 오늘은 BSC 프레임이 무엇인지, 그 구조와 특징, 그리고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활용 여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이진 동기 통신)는 IBM에서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로, 비트 동기 방식(Binary Synchronous Mode)을 기반으로 한 문자 중심의 데이터 전송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 Read more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에서 여러 개의 장치가 동일한 통신 채널을 공유할 때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CSMA는 네트워크 장치가 데이터 전송 전에 채널이 비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를 통해 충돌 가능성을 줄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CSMA의 동작 방식 CSMA의 기본 원리는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네트워크 채널의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