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Frame) 프레임](https://q-a.kr/wp-content/uploads/2025/02/2-1.png)
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프레임, 네트워크 통신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입니다. 오늘은 BSC 프레임이 무엇인지, 그 구조와 특징, 그리고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활용 여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이진 동기 통신)는 IBM에서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로, 비트 동기 방식(Binary Synchronous Mode)을 기반으로 한 문자 중심의 데이터 전송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동기화된 상태에서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BSC는 점대점(Point-to-Point) 또는 멀티드롭(Multidrop)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데이터 블록을 문자 중심으로 전송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프로토콜(Protocol)
프로토콜은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과 절차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사람들이 서로 소통할 때 사용하는 언어와 비슷합니다. 예를 들어, 전화 통화를 할 때 인사를 하고 본론을 이야기하는 것이 하나의 규칙이라면, 네트워크에서도 데이터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해 정해진 규칙이 필요합니다.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어떻게 구성하고, 전송하며,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할지를 정의합니다. 대표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로는 TCP/IP, HTTP, FTP 등이 있으며, BSC도 이러한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비트 동기 방식
송신기와 수신기가 일정한 비트 타이밍(Clock Signal)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별도의 클럭 신호(clock signal)를 맞춰 동기화하기 때문에, 송신과 수신이 정해진 타이밍에 맞춰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즉, 비트의 흐름(비트 스트림)이 동기화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것이죠.
반이중 전송
BSC는 반이중(Half-Duplex)만 지원하기 때문에,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고,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를 전송해야 합니다. 즉, A가 데이터를 보내는 동안 B는 기다려야 하며, B가 데이터를 보내려면 A가 전송을 끝낸 후에야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BSC가 반이중 전송만 지원하는 이유는 당시 기술적인 한계와 단순한 회선 기반 통신 구조 때문입니다.
블록
블록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묶어 전송하는 단위입니다. BSC와 같은 프로토콜에서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보내기 위해 블록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며, 각 블록은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특정 문자로 구분됩니다.
BSC 프레임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SYN> <SYN> <STX> DATA <ETX> BCC
-
SYN
: 동기 문자(2개 이상 연속 사용됨) -
STX
: 데이터 블록의 시작 -
DATA
: 전송할 문자 데이터 -
ETX
: 데이터 블록의 종료 -
BCC
: 블록 체크 문자(에러 검출용)
사용 시기
1960~1980년대 초반까지 메인프레임 및 미니컴퓨터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었죠. 이후 등장한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및 SDLC(Synchronous Data Link Control)와 같은 프레임 기반 프로토콜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이진 동기 통신, IBM에서 개발한 동기식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 중 오류 검출 및 제어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로 오래된 메인프레임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데이터 블록 단위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
[…] BSC(Binary Synchronous Communication) 프레임 […]
[…] BSC는 IBM이 1960년대에 개발한 문자 중심(Character-Oriented) 프로토콜로, 동기식 데이터 전송을 지원합니다.주로 반이중(Half-Duplex) 환경에서 사용되며, 데이터를 문자 단위로 프레임화하여 전송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