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EEE 802 표준규약,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을 정의하는 규약입니다. 미국전기전자학회(IEEE)가 개발한 이 표준은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포괄하며, 주로 LAN(Local Area Network)과 MAN(Metropolitan Area Network)의 데이터 링크 및 물리 계층을 다룹니다.
IEEE 802 표준의 주요 구성
IEEE 802 표준은 여러 개의 하위 표준으로 나뉘며, 각 표준은 특정한 네트워크 기술에 적용됩니다. 대표적인 표준을 살펴보겠습니다.
IEEE 802.1 (네트워크 관리 및 보안)
-
IEEE 802.1Q: VLAN(가상랜) 태깅을 지원하여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리하는 기술을 제공
-
IEEE 802.1X: 네트워크 인증 프로토콜로,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에서 보안 인증을 강화
IEEE 802.3 (이더넷)
-
유선 LAN을 위한 표준으로, 오늘날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기술
-
10Mbps(10BASE-T)에서 400Gbps(400GBASE-T)까지 다양한 속도를 지원
IEEE 802.4 (토큰 버스)
-
산업용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던 표준
-
토큰 패싱 방식으로 충돌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
IEEE 802.5 (토큰 링)
-
IBM이 개발한 토큰 링 네트워크 표준
-
링 토폴로지를 사용하며, 토큰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식
IEEE 802.8 (광섬유 LAN)
-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고속 네트워크 기술
-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었으며, 후속 기술인 이더넷 기반 네트워크에 통합됨
IEEE 802.9 (통합 서비스 LAN)
-
데이터와 음성을 통합하는 LAN 기술
-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표준
IEEE 802.11 (Wi-Fi)
-
무선 LAN(WLAN) 기술의 표준으로, Wi-Fi 기술의 기반을 제공
-
주요 버전:
-
802.11a (5GHz 대역, 최대 54Mbps)
-
802.11b (2.4GHz 대역, 최대 11Mbps)
-
802.11g (2.4GHz 대역, 최대 54Mbps)
-
802.11n (MIMO 기술 적용, 최대 600Mbps)
-
802.11ac (5GHz 대역, 기가비트 속도 지원)
-
802.11ax (Wi-Fi 6) (고밀도 환경에서도 고속 데이터 전송 가능)
-
IEEE 802.15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
-
Bluetooth 및 IoT(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사용
-
주요 버전:
-
802.15.1: 블루투스 기술 기반
-
802.15.4: Zigbee, Thread, 6LoWPAN과 같은 저전력 무선 프로토콜
-
IEEE 802.16 (WiMAX)
-
광역 무선 네트워크(Wireless MAN) 기술로, 장거리 고속 인터넷 접속 지원
-
주로 이동통신망 및 고정형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
IEEE 802.17 (Resilient Packet Ring, RPR)
-
광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기술
-
이중 링 토폴로지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안정성을 보장
IEEE 802.18 (무선 주파수 정책)
-
무선 스펙트럼 관리를 위한 표준
-
다양한 무선 기술 간의 주파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규정
IEEE 802.19 (공존 기술)
-
서로 다른 무선 기술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방법 연구
-
IEEE 802.11(Wi-Fi), IEEE 802.15(Bluetooth, Zigbee) 등의 공존을 지원
IEEE 802.20 (모바일 광대역 무선망)
-
이동성을 고려한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 표준
-
WiMAX와 경쟁하는 기술로 개발되었으나 채택률이 낮음
IEEE 802.21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
-
다양한 네트워크 간 원활한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표준
-
Wi-Fi, 셀룰러 네트워크, WiMAX 간의 이동성 향상
IEEE 802.22 (무선 지역 네트워크)
-
사용되지 않는 TV 대역 주파수를 활용한 무선 네트워크 표준
-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네트워크 구축 가능
IEEE 802 표준의 중요성
IEEE 802 표준은 네트워크 장비 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며, 다양한 제조업체에서 동일한 규격을 준수하도록 유도하여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또한, 기술 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개정되면서 최신 네트워크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결론
IEEE 802 표준은 현대 네트워크 기술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규약입니다. 유선 및 무선 통신 기술을 정의하는 다양한 하위 표준을 통해, 우리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IEEE 802 표준은 새로운 기술 발전에 맞춰 계속해서 진화할 것이며, 네트워크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IEEE 802.1 is a set of standards within the IEEE 802 family that focuses on network management and security mechanisms for Local Area Networks (LANs)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MANs). It plays a crucial role in defining protocols that enhance the efficiency, reliability, and security of network communication. […]
[…] IEEE 802.2, 데이터 링크 계층의 상위 부분인 논리 링크 제어(Logical Link Control, LLC)를 정의하는 표준입니다. IEEE 802.2는 다양한 LAN(Local Area Network) 및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기술과 호환되며, 이더넷(IEEE 802.3), 토큰 링(IEEE 802.5), FDDI 등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
[…] IEEE 802 표준규약 […]
[…] IEEE 802.5 토큰 링(Token Ring), 물리적으로는 스타(Star) 토폴로지를 가지지만, 논리적으로는 링(Ring) 구조로 동작합니다. 모든 네트워크 장치는 링 형태로 연결된 것처럼 동작하며, 토큰을 전달받은 장치만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
[…] IEEE 802.11 무선 LAN(Wireless LAN), 위한 표준을 정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흔히 Wi-Fi라고 알려져 있으며, 가정, 기업, 공공장소에서 무선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합니다. IEEE 802.11은 1997년에 최초로 표준화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속도, 보안성, 커버리지가 향상되었습니다. […]
[…] IEEE 802.16 광역 무선 네트워크(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WiMAX는 장거리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며,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특히, 기존 유선 인터넷 연결이 어려운 지역에서 무선 브로드밴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