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중화기(Concentrator),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저속 회선 또는 단말을 하나의 고속 회선으로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통신망의 효율성을 높이고, 자원의 낭비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집중화기는 데이터 트래픽을 관리하고 최적화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대역폭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집중화기의 작동 원리
집중화기의 주요 역할은 여러 개의 저속 링크에서 들어오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하나의 고속 링크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이 사용됩니다.
-
트래픽 관리(Traffic Management): 네트워크 사용량을 분석하고, 각 사용자의 트래픽을 적절히 조절하여 대역폭을 최적화합니다.
-
데이터 압축(Data Compression):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
프로토콜 변환(Protocol Conversion): 서로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서 통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접속 방식
집중화기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요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약 방식(Reservation Method)

-
데이터 전송 전에 채널을 예약하여 충돌 없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
VoIP 및 실시간 스트리밍과 같이 일정한 대역폭이 필요한 서비스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경쟁 방식(Contention Method)

-
다수의 단말이 동시에 데이터 전송을 시도할 수 있으며, 충돌이 발생하면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
대표적인 예로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방식이 있으며, 이 방식은 신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매체를 감지하고 충돌 시 백오프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순서적 할당 방식(Round Robin, RR)

-
각 단말에 일정한 시간 슬롯을 순차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으로, 공평한 대역폭 분배를 보장합니다.
-
QoS(Quality of Service)를 중요하게 여기는 환경에서 활용됩니다.
선택 방식(Selective Method)

-
네트워크 관리자가 특정한 단말이나 사용자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는 방식입니다.
-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VIP 사용자에게 우선적인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데 활용됩니다.
집중화기의 주요 유형
집중화기는 사용 목적과 기술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회선 집중화기(Line Concentrator)
-
여러 개의 저속 회선을 하나의 고속 회선으로 통합하는 역할을 합니다.
-
전화망(PSTN), 전용선(Leased Line) 등의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데이터 집중화기(Data Concentrator)
-
센서, IoT 장치 등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산업 자동화 시스템 등에서 활용됩니다.
무선 집중화기(Wireless Concentrator)
-
여러 개의 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수집하고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회선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
이동통신 기지국, Wi-Fi 네트워크 등에서 활용됩니다.
IEEE 802 표준 규약과 집중화기
IEEE 802 표준 규약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주요 프로토콜을 정의하며, 집중화기와 관련된 표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IEEE 802.1: 네트워크 브리지 및 관리 표준
-
IEEE 802.3 (이더넷): CSMA/CD(충돌 감지)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관리합니다.
-
IEEE 802.11 (Wi-Fi): 무선 LAN에서 CSMA/CA(충돌 회피)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 간섭을 줄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
IEEE 802.15: 저전력 PAN(Personal Area Network) 표준, 블루투스 및 Zigbee 포함
-
IEEE 802.16 (WiMAX): 무선 광대역 통신에서 사용되며, 넓은 지역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합니다.
-
IEEE 802.17: Resilient Packet Ring(RPR) 네트워크 표준
-
IEEE 802.22: 무선 지역 네트워크(WRAN) 표준으로 TV 화이트 스페이스 활용
집중화기의 주요 활용 분야
집중화기는 다양한 산업과 네트워크 환경에서 활용됩니다.
-
통신망: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서 여러 사용자의 트래픽을 하나의 백본 회선으로 통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
기업 네트워크: 기업 내부 네트워크에서 여러 지점의 연결을 하나의 주요 회선으로 집약하여 비용 절감 및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
스마트 그리드: 전력망에서 사용자의 전력 사용 데이터를 집계하여 중앙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
IoT 및 스마트 시티: 센서 및 스마트 장치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데 활용됩니다.
집중화기의 장점과 단점
장점
-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
회선 비용 절감
-
트래픽 부하 균형 조절 가능
-
확장성이 높아 향후 네트워크 확장에 유리함
단점
-
집중화기가 장애를 일으킬 경우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트래픽이 집중될 경우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
-
초기 구축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결론
집중화기는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술 중 하나로,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며,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영을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예약 방식, 경쟁 방식(CSMA), IEEE 802 표준 규약, 순서적 할당 방식(RR), 선택 방식과 같은 네트워크 접근 방식이 집중화기와 결합되어 효율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집중화기(Concentrator) 총정리 […]
[…] 집중화기(Concentrator) 총정리 […]
[…] 집중화기(Concentrator) 총정리 […]
[…] 집중화기(Concentrator) 총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