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방식(Selective Transmission)

동작 방식

  1. 송신 노드 대기열 구성: 데이터 패킷은 중요도, 우선순위 또는 전송 조건에 따라 대기열(Queue)에 저장됩니다.

  2. 우선순위 기반 선택: 트래픽 관리 알고리즘이 패킷의 중요도를 평가하고,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데이터가 먼저 전송됩니다.

  3. 패킷 전송 및 확인: 선택된 패킷이 전송되며,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확인(Acknowledgement, ACK)합니다.

  4. 재전송 처리: 손실된 패킷이 감지되면, 해당 패킷만 재전송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흐름을 줄입니다.

순서적 할당 방식(Round Robin) 👆

특징

  • 효율적인 대역폭 활용: 필요 없는 패킷을 무작위로 전송하지 않고, 중요 패킷만 선별하여 전송함.

  • QoS 지원: 실시간 스트리밍, VoIP(Voice over IP), 비디오 컨퍼런스 등에서 데이터 우선순위를 지정하여 성능을 향상시킴.

  • 지연 최소화: 긴급 데이터의 전송 지연을 줄이고, 신속한 패킷 전달 보장.

IEEE 802.4 토큰 버스(Token Bus) 👆

예제 시나리오

예제 조건

  • 3개의 송신 노드(N1, N2, N3)

  • 데이터 유형: N1(긴급 데이터), N2(일반 데이터), N3(대용량 데이터)

  • 전송 정책: 긴급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전송하며,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일반 및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

실행 과정

  1. N1(긴급 데이터) 전송 → 즉시 전송 및 ACK 확인

  2. N2(일반 데이터) 전송 → 대역폭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전송

  3. N3(대용량 데이터) 전송 → 우선순위가 낮아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전송 지연 발생 가능

  4. 손실된 패킷 재전송 → 필요한 데이터만 다시 전송하여 네트워크 부하 감소

데이터 전송 순서

| N1(긴급) | N1(긴급) | N2(일반) | N3(대용량) | N1(긴급) | N2(일반) |
0         1         3         6         8         10 MB
IEEE 802 표준규약 👆

장점과 단점

장점

  •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트래픽 관리 최적화.

  • 특정 데이터의 우선 전송을 보장하여 긴급성 높은 데이터 처리가 가능.

  • 패킷 재전송 시 불필요한 데이터 흐름을 줄여 성능 향상.

단점

  • 우선순위가 낮은 데이터는 지연될 가능성이 있음.

  • 네트워크 트래픽이 과부하 상태일 경우 긴급 데이터 처리에도 영향 가능.

  • 패킷 분류 및 우선순위 지정에 대한 추가적인 관리 부담 발생.

패킷(Packet) 어떻게 데이터 전송 👆

활용 사례

  •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비디오 또는 오디오 스트리밍에서 중요한 패킷을 우선적으로 전송하여 품질 유지.

  • IoT 네트워크: 센서 데이터 중 중요한 이벤트 데이터 우선 전송.

  • VoIP 및 온라인 회의: 음성 및 영상 데이터 패킷을 우선 처리하여 지연 최소화.

  • 보안 시스템: 침입 탐지 및 경고 신호 패킷을 즉시 전송하여 보안 대응 시간 단축.

이더넷(Ethernet) 인터넷? 👆

결론

선택 방식 데이터 전송은 효율적인 네트워크 자원 활용과 신속한 데이터 처리를 보장하는 기법입니다.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긴급성을 보장하며, 패킷 손실을 줄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다양한 실시간 시스템 및 고품질 서비스를 요구하는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집중화기(Concentrator) 총정리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0 0 votes
Article Rating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Popup Image
바로가기